게임과 문학 시리즈 6부 – 선택, 후회, 그리고 구원은 가능한가?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 『어톤먼트』)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와 이언 매큐언의 『어톤먼트』는 서로 다른 형식과 배경을 가진 작품이지만, 모두 ‘선택’이 만들어낸 파국과 그에 대한 구원의 가능성을 다룹니다.사진을 통해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소녀 맥스, 그리고 거짓된 고백으로 두 사람의 인생을 뒤틀어버린 브라이오니. 두 사람은 자신이 만든 현실 앞에서 도망치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든 ‘속죄’를 선택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작품이 어떻게 시간, 후회, 용서, 구원이라는 테마를 서사 구조와 인물의 선택을 통해 풀어내는지 비교 분석합니다.1. 되돌릴 수 없는 결정의 순간📷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 사진 한 장이 운명을 바꾼다주인공 맥스 콜필드는 18살의 사진학도입니다. 어느 날, 시간을 되돌리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 첫 번째 ..
2025. 4. 2.
게임과 문학 시리즈 3부 – 나는 왜 이 모습이 되었는가? (INSIDE × 『변신』)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Playdead의 게임 《INSIDE》는 매우 다른 시대, 다른 매체에서 등장했지만, 놀랍도록 닮은 철학적 고독과 실존적 불안을 공유합니다.말없이 벌레로 깨어난 그레고르 잠자, 그리고 말없이 세상을 떠도는 이름 없는 소년. 이들은 모두 “자아의 붕괴”와 “존재의 비가시화” 속에서 자신의 정체를 잃어갑니다.이번 글에서는 《INSIDE》와 『변신』이 어떻게 언어 없는 절망, 정체성의 상실, 사회적 소외를 그려냈는지를 스토리, 구조, 상징, 철학으로 깊이 있게 해석합니다.1. 시작은 충격, 그러나 더 무서운 건 ‘설명 없음’🐛 『변신』 – 벌레로 깨어난 아침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은 이렇게 시작됩니다:“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나 보니 거대한 벌레로 변해 ..
2025. 3. 31.
게임과 문학 시리즈 1부 – 인간의 조건은 무엇인가?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멋진 신세계』)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과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서로 다른 시대, 서로 다른 매체에서 만들어졌지만 같은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기술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세상에서,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가?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가 인간이 되려는 세계와, 인간이 안드로이드처럼 살아가는 세계를 교차시키며 자유, 자아, 감정, 시스템 속의 인간성에 대해 고찰해봅니다.1. 서로 다른 미래, 하나의 질문📌 『멋진 신세계』 – 완벽하지만 인간이 없는 세계1932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놀랍게도 오늘날의 기술사회 구조를 예견했습니다.사람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공 배양’되고 계급별로 설계됨슬픔, 고통, 사랑은 비효율적이므로 제거됨모든 감정은 ‘소마’라는 약으로 조절됨겉으로는 평화롭고 유쾌한 사회지만, 그 ..
2025. 3. 30.